육아 및 엄마건강
임신 중 복용하는 혈압약의 효과와 안전성
신원장-
2018. 10. 2. 15:25
임신성고혈압이란?
임신 기간 중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으로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산모 10명 중 1명은 임신 중 이러한 혈압상승이 나타나게 됩니다.
치료
보통은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으로 돌아오지만,
임신 중 혈압이 계속 올라가 중증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고혈압약을 투여하게 됩니다.
관련 연구
임신 중 고혈압 약을 먹어도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안 좋진 않을지, 약물의 효과는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많지만 서로 주장하는 바가 달랐습니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리뷰 연구가 최근 출판되었습니다.
63개의 임상연구(총 5900여명의 산모 대상)를 종합한 결과, 다음의 결과들이 적정 근거확신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후의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산모와 태아에 대한 영향과 어떤 약물이 더욱 효과적이면서 안전할지 근거가 쌓여 나가길 기대합니다.